반응 방식의 일환인 조건반사 무조건반사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조건반사는 동물이 학습에 의해서 익히는 후천적인 반응 방식이며, 무조건반사는 동물이
자극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반응을 말합니다.
<조건반사>
1900년경 소련의 생리학자 파블로프(L. P Pavlov)의 연구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특정한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반사현상 중에서, 선천적으로 자극과 반응이
관계없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을 통해 반사작용이 일어나는 경우를 조건반사라고 합니다.
자동차 운전, 여러가지 운동, 악기의 연주, 귤을 생각하면 침이 도는 것 등은 일상생활의
습관과 경험에 의해 자연적으로 조건반사가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무조건반사>
특정한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무조건반사는 동물이 처음
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능력이지만 일반적으로 척추동물 수준에서만 인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조건반사는 대뇌가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단 그만큼
빠른 속도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반사는 생물의 생존에 직결되어 있는 반응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무조건반사 중추는 척수, 연수, 중뇌로 구분되며,
① 척수반사는 배뇨, 배변, 피부자극에 대한 반응, 무릎반사 등이며, ② 연수반사는 하품,
재채기, 기침, 눈물, 침분비, 딸꾹질, 구토 등이고, ③ 중뇌반사는 동공이 커지거나 축소
되는 동공반사 등이 있습니다.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 차이점>
조건반사는 과거 경험을 조건으로 하여 반사작용이 대뇌에서 일어나지만, 무조건반사는
반사작용이 대뇌를 거치지 않고 척수나 연수, 중뇌에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지식상식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보험의 종류 (유형) (0) | 2016.07.21 |
---|---|
블랙스완 의미 (0) | 2016.07.16 |
작은 더위 소서 뜻 간략 설명 (0) | 2016.07.07 |
영토고권 대인고권 간략 설명 (0) | 2016.07.05 |
실업의 유형 요약 설명 (0) | 2016.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