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글

삼고지례 뜻과 유래

꼴두바위 2016. 9. 21.

삼고지례는 삼고초려와 같은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삼고지례는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갔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선 최선을 다해 예를 갖춰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있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출전은 '삼국지 제갈량전'입니다.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얻으려면 그만큼 노력해 상대방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는 

진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다고 생각됩니다. 삼고지례 한자는 三顧之禮로

적으며, 개별한자 뜻은 (三 : 석 삼),  (顧 : 돌아볼 고),  (之 : 갈 지),  (禮 : 예절 례)

입니다.

 

 

삼고지례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비와 관우와 장비는 의형제를 맺고 한나라 부흥을 위해 노력하던 중 군대를

통솔할 사람이 없어 늘 조조에게 패하고 고생만 했습니다. 어느날 유비는 자신의

은사인 사마휘를 만나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추천해 달라고 했습니다.

 

 

사마휘는 유비에게 지혜로운 참모가 없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면서 복룡과 봉추

가운데 한 사람만 얻어도 천하를 평정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비가 복룡은

누구이고, 봉추는 누구인지를 물었으나 사마휘는 대답하지 않고 떠나버렸습니다.

 

얼마 후 제갈량이 복룡이란 사실을 알게 된 유비는 제갈량을 맞이하기 위해 그의

초가집으로 찾아갔으나, 번번이 만나지 못하다가 세 번째 갔을 때 비로소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제갈량은 세 번씩이나 자신을 찾아 준 유비에게 그만 감동하여 그의

책사가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유비는 제갈량과 자기와의 사이를 '물과 물고기 사이'라고 했고 제갈량은 그의

출사표에서 자신이 비천한 신분임에도 초가집을 세 번이나 찾아주어 감격하여

유비에게 열심히 봉사하겠다고 맹세했다고 합니다. 

 

유비의 참모가 된 제갈량은 유명한 전투인 적벽대전에서 조조의 100만 대군을

무찌르는 등 수많은 공을 세웠습니다. 

'성어속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구우후 뜻과 유래  (0) 2016.11.08
과전불납리 뜻  (0) 2016.11.01
송양지인 뜻 한자 유래  (0) 2016.10.22
명경지수 예문 한자 유래  (0) 2016.09.29
치인설몽 뜻과 유래  (0) 2016.09.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