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과전불납리는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않는다는 말로, 과전불납리
뜻은 오해 받을 행동은 애초부터 하지말라는 의미입니다. 과전불납리 출전은 '악부
고사의 군자행'입니다.
한자는 瓜田不納履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瓜 : 오이 과) (田 : 밭 전) (不 :
아니 불) (納 : 들일 납) (履 : 신 리)입니다.
과전불납리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군자는 미연에 일을 방지하고 혐의를 사지 않는다. 의심받을 곳에 있지 않고 오이
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않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갓을 바로잡지 않는다.
'악부고사의 군자행'에 나오는 말입니다.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으려고 몸을 숙이면 마치 오이를 따려는 행동처럼 보여
도둑으로 오해받기 쉽다는 것에서 만들어진 말이기도 합니다.
군자라면 세상을 살아가는데 몸가짐을 바르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는 남에게 오해받을 일을 벌여 곤욕을 치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성어속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하노인 뜻 유래 (0) | 2016.11.10 |
---|---|
계구우후 뜻과 유래 (0) | 2016.11.08 |
송양지인 뜻 한자 유래 (0) | 2016.10.22 |
명경지수 예문 한자 유래 (0) | 2016.09.29 |
삼고지례 뜻과 유래 (0) | 2016.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