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1899년 출간한 자신의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지각없이 이루어진다"
라고 말한데서 비롯된 베블런 효과는 비쌀수록 잘 팔리는 현상을 뜻하는 말입니다.
즉, 베블런 효과는 제품의 가격이 오르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부유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때문에 제품의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가격이 오르면 잘 팔리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줄어들기 마련
입니다. 그러나 가격이 올라도 제품이 잘 팔려 수요에 변화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그런 현상을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사회학자 베블런은 자신의 저서(유한계급론)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며
상류층의 각성을 촉구했는데요, 베블런 효과의 사례로는 명품가방, 귀금속, 최고급
수입차, 최고급 가전제품 등이 가격에 관계없이 잘 팔리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가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부유한 상류층의 경우 자신의 경제적인 풍요로움을 과시하기 위해
비싼 것을 알면서도 일부러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고가의 명품인 경우 가격이 비쌀수록 제품의 수요가 더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오히려 구매를 꺼려하는 기이한 현상까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고가의
명품이 인기가 치솟음으로써 사회적으로 큰 부작용도 발생하는데요, 그것이 바로
가짜 명품이 판을 치는 세상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른바 짝퉁으로 불리는 가짜 명품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여기에 속아 낭패를 보는
소비자들이 증가하여 사회적인 혼란이 가중되기 때문에, 고가의 명품이 잘 팔리는
현상은 하루 빨리 사라져야 할 사회적인 병폐인 것입니다.
그럼 이런 과소비의 병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떤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까요?
바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비율)를 중시하는 소비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합니다.
저렴한 가격이지만 성능이 우수해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 많이 출시
된다면 고가의 명품을 선호하는 사회적인 병폐를 차단시킬 수 있습니다.
실속있고 값싼 제품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반베블런족'이라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값싸고 실용성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반베블런족'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참으로
다행스러운 현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소비자 여러분! 저금리 저성장 시대를 맞이하여 가성비가 높고 실용성이 좋은
제품을 선호하는 사회분위기 조성에 동참하시는 것은 어떨런지요?
'지식상식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사의 사탑이 기울어진 이유 (0) | 2017.09.15 |
---|---|
한국은행 기준금리란 (0) | 2017.09.12 |
고국 조국 모국 차이 (0) | 2017.09.03 |
군번줄 (군 인식표) 두 개인 이유 (0) | 2017.08.26 |
그루밍족 이란 만찢남 멍뭉미 등 가꾸는 남자 (0) | 2017.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