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상식글

비의 종류 우리말 풀이

꼴두바위 2016. 6. 27.

기상에 대한 상식 향상을 위해 비의 종류 우리말 풀이를 하였습니다. 

비의 종류는 정말 다양하고 많은데요, 기상청에 수록된 비의 종류 우리말 풀이와 일반상식 서적에서

자료를 수집해 작성한 글입니다. (출처 : 기상청 및 2015년 일반상식) 

 

 

○ 가을비 : 가을철에 지적지적 내리는 비

○ 가을장마 : 가을철에 여러 날 쉬지 않고 내리는 비

○ 건들장마 : 초가을에 비가 오다가 말다가 하는 장마

 

○ 개부심 : 장마로 큰물이 난 뒤 한동안 쉬었다가 다시 퍼붓는 비

○ 궂은비 : 날이 흐려 어둠침침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

○ 그믐치 : 음력 그믐께에 비나 눈이 오는 것 또는 그때 내리는 비나 눈

 

 

 

○ 낙종물 : 못자리를 만들 무렵에 때를 맞추어 오는 비

○ 는개 : 안개보다는 조금 굵고 이슬비보다는 가는 비 (연우)

늦장마 : 제철이 지나서 지는 장마 (준말은 늦마)

○ 단비 : 꼭 필요할 때 알맞게 내리는 비

 

○ 먼지잼 : 겨우 먼지가 날리지 않을 정도로 비가 조금 오는 것

○ 모종비 : 모종하기에 알맞게 때맞추어 내리는 비 

○ 목비 : 모낼 무렵에 한목 오는 비 

 

 

○ 못비 : 모를 낼 만큼 흡족하게 오는 비

○ 보름치 : 음력 보름께에 비나 눈이 오는 날

○ 보슬비 : 바람없이 조용하게 내리는 가랑비 (큰말은 부슬비)

 

○ 복물 : 복날 또는 그 무렵에 내리는 비

○ 봄비 : 봄에 내리는 비

○ 봄장마 : 봄철에 여러날 계속해서 오는 비

 

 

○ 부슬비 : 부슬부슬 내리는 비(작은말은 보슬비)

비꽃 :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 성기게 떨어지는 빗방울

○ 비안개 : 비가 쏟아질 때 안개처럼 부옇게 흐려 보이는 현상

 

○ 산돌림 : 산기슭으로 내리는 소나기 또는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한줄기씩 쏟아지는 소나기

○ 산성비 : 산성을 띠는 비

○ 안개비 : 빗줄기가 매우 가늘어 안개처럼 부옇게 보이는 비

 

 

○ 약비 : 약이 되는 비라는 뜻 즉, 꼭 필요할 때 내리는 비를 의미함

○ 양성장마 : 집중호우와 같은 소나기성 장마 (반대말은 음성장마)

○ 억수 :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호우 (작은말은 악수)

○ 억수장마 : 여러날 동안 억수로 내리는 장마

 

○ 여우비 : 볕이 나 있는데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

○ 웃비 : 한창 내리다가 잠시 그친 비 (웃비걷다 : 오던 비가 그치고 잠시 볕이 들다)

○ 음성장마 : 궂은비가 오랫동안 계속되는 장마 (반대말은 양성장마)

 

 

○ 작달비 : 굵고 거세게 좍좍 퍼붓는 비 (장대비라고도 함)

○ 장맛비 : 장마 때 내리는 비 (장마비라고 하면 틀림) 

○ 진눈깨비 : 비가 섞여 내리는 눈. 눈비 (반대말은 마른눈)

 

○ 찬비 : 차가운 비

○ 칠석물 : 칠석날에 오는 비 (칠석물이 지다)

○ 큰비 : 여러날 동안 계속해서 내리는 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