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경지수 예문 한자 유래 고사성어 명경지수는 맑은 거울과 잔잔한 물이라는 말로, 마음이 고요한 상태를 뜻합니다. 명경지수는 장자의 덕충부편 및 응제왕편에 전해오는데, 공자가 제자인 상계에게 노나라의 왕태라는 사람이 존경받는 이유를 설명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한자로는 明鏡止水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입니다. ① 어려운 시험을 합격한 덕분에 요즘 내 마음은 명경지수와 같다. ② 잘못을 뉘우치고 바르게 살면 항상 마음은 명경지수일 것이다. ③ 명경지수와 같은 내 마음에 돌을 던지지 말라. 장자의 덕충부편에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노나라에 학문이 높고 인자한 성품의 왕태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죄를 지어 발목이 잘린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공자.. 성어속담글 2016. 9. 29. 삼고지례 뜻과 유래 삼고지례는 삼고초려와 같은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삼고지례는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갔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선 최선을 다해 예를 갖춰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있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출전은 '삼국지 제갈량전'입니다.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얻으려면 그만큼 노력해 상대방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는 진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다고 생각됩니다. 삼고지례 한자는 三顧之禮로 적으며, 개별한자 뜻은 (三 : 석 삼), (顧 : 돌아볼 고), (之 : 갈 지), (禮 : 예절 례) 입니다. 삼고지례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비와 관우와 장비는 의형제를 맺고 한나라 부흥을 위해 노력하던 중 군대를 통솔할 사람이 없어 늘 조조에게 패하고 고생만 했습니다. 어느날 유비는 자신의 은사인 사마휘를 만나 자신을 도와.. 성어속담글 2016. 9. 21. 치인설몽 뜻과 유래 고사성어 치인설몽은 어리석은 사람에게 꿈이야기를 말한다는 뜻으로, 허황되거나 어리석은 짓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치인설몽은 중국 [냉제야화]에 전해오는 고사성어입니다. 치인설몽 한자는 癡人說夢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癡 : 어리석을 치), (人 : 사람 인), (說 : 말씀 설), (夢 : 꿈 몽)입니다. 우리는 한심한 행동이나 바보 같은 짓을 하면 치인설몽같은 행동을 하지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치인설몽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나라 시대에 서역의 고승인 승가가 지금의 안후이성 근처를 여행하였는데, 어떤 사람이 승가의 모습을 이상하게 여기고 "당신 성이 무엇이오?"라고 질문 했습니다. 이에 승가는 "내 성은 무엇이요(姓何)"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어느나라 사람(何國人)이오?"라.. 성어속담글 2016. 9. 14. 이전 1 ···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