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 뜻 유래 예문 상식 -우공이산 뜻 / 우공이산 유래- 고사성어 우공이산은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말로, 어리석어 보여도 끝까지 밀고 나가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쉬지 않고 포기 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어떤 큰일이라도 해낼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어리석거나 불가능한 일을 추진하더라도 목적이 올바르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라면 어려운 여건일지라도 우공이산을 실천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입니다. 우공이산은 용기와 신념을 지닌 사람만 실천할 수 있을 겁니다. 한자는 愚公移山(우공이산)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愚 : 어리석을 우) (公 : 공변될 공) (移 : 옮길 이) (山 : 뫼 산)입니다. ① 포기하고 싶을 때는 고사성어 우공이산의 깊은 뜻을 가슴에 .. 성어속담글 2016. 12. 19.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가엾게 여긴다 (동병상련 뜻 예문 유래) 고사성어 동병상련은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가엾게 여긴다'는 말로, 동병상련 뜻은 비슷한 처지에 놓인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기며 동정해준다는 의미합니다. 동병상련의 출전은 '오월춘추'입니다. 서로 위로를 받는다는 것은 참 좋은 일인데요, 범죄를 저지르고 동병상련의 처지가 되면 안될 겁니다. 한자는 同病相憐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同 : 한가지 동) (病 : 병들 병) (相 : 서로 상) (憐 : 불쌍히 여길 련)입니다. ① 같은 병을 가진 사람과 만나 동병상련 처지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② 부모가 없는 나는 고아가 된 소년을 만나 동병상련을 느끼고 동생으로 삼고 함께 생활하기도 결심했다. ③ 동병상련이라고 했으므로 가난해지면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을 .. 성어속담글 2016. 11. 18. 곡학아세 뜻 한자 예문 유래 고사성어 곡학아세는 학문의 도리를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는 말로, 곡학아세 뜻은 학문의 도리와 정도에 따르지 않고, 잘되려는 욕심으로 권력을 가진 사람 이나 세상에 아부한다는 의미합니다. 곡학아세 출전은 '사기의 유림열전'입니다. 한자는 曲學阿世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曲 : 굽을 곡) (學 : 배울 학) (阿 : 아첨할 아) (世 : 세대 세)입니다. ① 그는 출세하려고 곡학아세를 일삼더니 결국 사람들에게 비난받게 되었다. ② 곡학아세에 물들은 교수들은 올바른 교육을 위해 즉각 물러나야 한다. 한나라의 원고생은 성품이 꼿꼿하고 학문도 높아 한나라 6대 황제인 경제에게 발탁되어 박사 벼슬에 있었습니다. 경제의 어머니 두태후가 원고생에게 노자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가 "그와 같은 책은 종들의 말에 불과.. 성어속담글 2016. 11. 11. 월하노인 뜻 유래 고사성어 월하노인은 달빛 아래의 노인이라는 말로, 월하노인 뜻은 부부의 인연을 맺어주는 중매인, 즉 쉽게 말해 중매를 하는 사람(중매쟁이)이라는 의미입니다. 월하노인 출전은 '속유괴록'과 '진서의 예술전'입니다. 한자는 月下老人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月 : 달 월) (下 : 아래 하) (老 : 노인 노) (人 : 사람 인)입니다. 당나라 태종 때 위고라는 젊은이가 여러 곳을 여행하다가 송성 남쪽 마을에서 달빛 아래 한 노인이 손에 빨간 끈을 들고 책을 읽고 있는 것을 목격하였습니다. 위고는 이상한 책이라고 여기며 무슨 책이냐고 물었습니다. 노인은 "혼사에 관한 책인데, 이 빨간 끈으로 남녀를 묶으면 혼인이 성사된다네." 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위고는 "그럼 제 아내가 될 사람은 어디에 있습니까?.. 성어속담글 2016. 11. 10. 계구우후 뜻과 유래 고사성어 계구우후는 소의 꼬리보다는 닭의 머리가 낫다는 말로, 계구우후 뜻은 큰 집단(조직)의 말단보다는 작은 집단(조직)의 우두머리가 낫다는 것입니다. 옛 속담에 닭의 부리가 될지언정 소꼬리는 되지 말라는 말이 있는데, 이 속담의 한자가 바로 계구우후이며, 출전은 '사기의 소진열전'입니다. 한자는 鷄口牛後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鷄 : 닭 계) (口 : 입 구) (牛 : 소 우) (後 : 뒤 후)입니다. 전국시대 중엽, 동주의 도읍 낙양에 소진이라는 모사꾼이 선혜왕을 만났습니다. 그는 합종책으로 입신할 뜻을 품고 있던 인물입니다. 그는 선혜왕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전하, 한나라는 토지가 비옥하고 성도 견고하고 군사들도 강병입니다. 더구나 대왕께서도 현명하시기까지 한데 이런 한나라가 진나라를 섬.. 성어속담글 2016. 11. 8. 과전불납리 뜻 고사성어 과전불납리는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않는다는 말로, 과전불납리 뜻은 오해 받을 행동은 애초부터 하지말라는 의미입니다. 과전불납리 출전은 '악부 고사의 군자행'입니다. 한자는 瓜田不納履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瓜 : 오이 과) (田 : 밭 전) (不 : 아니 불) (納 : 들일 납) (履 : 신 리)입니다. 과전불납리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군자는 미연에 일을 방지하고 혐의를 사지 않는다. 의심받을 곳에 있지 않고 오이 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않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갓을 바로잡지 않는다. '악부고사의 군자행'에 나오는 말입니다.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으려고 몸을 숙이면 마치 오이를 따려는 행동처럼 보여 도둑으로 오해받기 쉽다는 것에서 만들어진 말이기도 합니다. 군자라면 세상을.. 성어속담글 2016. 11. 1. 송양지인 뜻 한자 유래 고사성어 송양지인은 송나라 양공의 어진 마음이라는 말로, 송양지인 뜻은 제 분수도 모르면서 남을 동정하거나 인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자신이 피해를 당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의미합니다. 송양공은 송나라의 19대 군주(재위 B.C 650~637)로서 천하를 재패할 야심이 있었지만, 남을 동정하는 어리석은 어짊으로 인해 초나라 군대에게 인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대패 하여 뜻을 이루지 못했는데, 세상사람들은 송나라 양공의 이런 어리석은 어진 마음을 '송양지인'이라 부르며 비웃었다고 합니다. 한자는 宋襄之仁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宋 : 송나라 송) (襄 : 도울 양) (之 : 갈 지) (仁 : 어질 인)입니다. (유래 인용 : 신동운 선생님 편저 촌철살인의 지혜) 송양공(宋襄公)은 천하를 재패할 야심으로 초나.. 성어속담글 2016. 10. 22.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