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피지기 백전불태 뜻 및 유래 고사성어 지피지기 백전불태는 한자를 직역하면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평소 '지피지기 백전불태'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지피지기 백전불태는 어떤 의미가 있는 고사성어인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로, 상대방의 약점과 강점을 잘 알고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잘 알게 되면 어떤 경우 에도 상대방을 이길 수 있다는 뜻입니다. 출전은 '순자의 모공편'입니다. 한자는 知彼知己 百戰不殆 (지피지기 백전불태)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知 : 알 지) (彼 : 저 피) (知 : 알 지) (己 : 자기 기) (百 : 일백 백) (戰 : 싸울 전) (百 : 일백 백) (殆 : 위태로울 태)입니다. ① 경쟁.. 성어속담글 2017. 10. 1. 고생끝에 낙이온다 사자성어 및 속담뜻 삶이 힘들 때 위안이 되는 말은 '고생끝에 낙이온다'라는 속담입니다. 고생끝에 낙이온다 속담뜻은 '어려운 일이나 힘든 일을 겪은 뒤에는 반드시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고생끝에 낙이온다 사자성어'는 무엇일까?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고진감래입니다. 고진감래는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즉, '고생끝에 낙이온다'라는 속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1. 고진감래 뜻 직역하면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즉, 고생끝에 낙이온다는 뜻으로 고생 을 참고 견디면 반드시 좋은 일이 생기기 마련이라는 의미입니다. 2. 고진감래 출전 출전은 알 수 없습니다. 3. 고진감래 한자 한자는 苦盡甘來(고진감래)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苦 : 쓸 고) (盡 :.. 성어속담글 2017. 4. 23. 친구 사자성어 모음 우정이 깊고 친한 사이라고 표현을 할 때 쓰는 '친구 사자성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친구 사자성어는 관포지교, 죽마고우, 막역지우 등인데요, 평소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자성어도 많으므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①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보인다는 말로, 서로 마음을 터넣고 사귄다는 의미입니다. ②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과 같이 친구를 위해 베푸는 두터운 우정을 의미합니다. ③ 금석지교(金石之交) 쇠와 돌이 약하지 않고 단단한 것처럼 서로 믿음이 단단한 사이라는 의미입니다. ④ 교칠지교(膠漆之交) 아교풀로 붙이고 그 위에 옻칠을 하면 서로 떨어지지 않는 것처럼 매우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의미입니다. ⑤ 금.. 성어속담글 2017. 4. 6. 석권 뜻 유래 고사성어 석권은 돗자리를 만다는 말로 석권 뜻은 거침없이 차례로 점령한다는 의미 입니다. 올림픽이나 각종 경기에서 전 종목을 석권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어떤 분야 이든지 석권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노력하면 자신이 목표한 것을 석권할 수도 있을 겁니다. 거침없이 차례로 점령한다는 뜻으로 요즘은 어떤 분야를 자신의 손아귀에 넣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석권의 출전은 사기의 위표팽월열전입니다. 한자는 席卷(석권)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席 : 자리 석) (卷 : 문서 권)입니다. ① 그는 우수한 기량으로 한국체전에서 4종목을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② 중국으로 진출한 우리나라 영화는 마침내 중국시장을 석권하고 말았다. ③ 나는 육상경기 2종목 석권을 목표로 매일 .. 성어속담글 2017. 2. 4. 고육지계 뜻 예문 유래 고사성어 고육지계는 적을 속이거나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면서 까지 짜내는 계책이라는 말로, 고육지계 뜻은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내는 꾀나 방법 등을 의미합니다. 고육지계와 같은 의미의 고사성어로서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 있습니다. ①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정부가 선택한 고육지계는 만기일시 상환대출을 원리금분할 상환대출로 전환한 것이었다. ② 철수의 성적이 떨어지자 가난한 철수의 어머니는 가정형편을 고려해 고육지계로 제일 못하는 1과목만 선택해 철수에게 과외를 시키기로 했다. ③ 흡연은 국민건강을 위협하지만 담배판매를 규제하면 주요 세수원이 줄어들므로, 정부는 고육지계로 아주 순한 담배만 생산하도록 결정했다. ④ 경쟁사와 손잡는 것은 정말 싫지만 회사의 이익.. 성어속담글 2017. 1. 16. 언감생심 뜻 유래 고사성어 언감생심은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으랴'라는 말로 자신의 처지가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신분이 낮거나, 미천하여 욕심이라고 생각되는 마음조차도 가슴에 품을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언감생심 출전은 알 수 없습니다. 감히 욕심 조차도 가슴 속에 품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한마디로 '감히 바랄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한자는 焉敢生心(언감생심)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焉 : 어찌 언) (敢 : 감히 감) (生 : 날 생) (心 : 마음 심)입니다. ① 우리 형편에 외제차는 언감생심 꿈도 꿀 수 없다. ② 내 처지에 부잣집 딸은 언감생심 좋아할 수도 없다. ③ 가난뱅이 주제에 내 딸을 넘보다니 언감생심 꿈도 꾸지마라. 언감생심은 원래부터 그 유래가 없습니다. 다만, 이와 비슷한.. 성어속담글 2017. 1. 10. 고사성어 형설지공 뜻 유래 한자 예문 -형설지공 뜻- 고사성어 형설지공은 반딧불이와 눈의 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말로, 가난한 환경을 이겨 내고 열심히 공부하여 이룩한 성공이라는 뜻입니다. 예로부터 자수성가한 사람은 가난을 이겨 내고 형설지공을 이룩한 사람이 많습니다. 형설 지공의 출전은 '몽구'와 '진서'입니다. 한자는 螢雪之功(형설지공)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螢 : 반딧불이 형) (雪 : 눈 설) (之 : 갈 지) (功 : 공 공)입니다. ① 형설지공을 이룩한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② 형설지공의 정신으로 학업에 열중하면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③ 그 학생은 집안이 가난하지만 노력하므로 반드시 형설지공의 위업을 이룩할 것이다. 진나라에 살고 있는 손강이라는 소년은 집안이 너무 가난해서 등불을 켜는 데 사용할 기름.. 성어속담글 2016. 12. 2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