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에서 발생하는 파제트병은 유방암의 한 종류로서 유두의 피부(유륜)를 침범하는
암이며, 드물게 나타납니다. 파제트병으로 불리는 이유는 19세기에 활동한 제임스
파제트라는 의사 이름에서 이 병명이 유래되었기 때문입니다. 파제트병이란 단어는
유방뿐 아니라 골(뼈), 유방 이외의 조직(생식기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유방 파제트병 증상>
파제트병을 가진 환자들은 대부분 젖꼭지(유두)나 젖꽃판(유륜)에 습진 또는 궤양이
나타나며, 심해지면 젖꼭지(유두) 또는 젖꽃판(유륜) 근처가 갈라지기도 합니다.
<유방 파제트병 고위험군>
① 어머니나 자매 중에 유방암 환자가 있는 사람 (가족력이 있는 경우)
② 한쪽 유방에 유방암이 있었던 사람
③ 출산 경험이 없는 사람
④ 30세 이후에 첫 출산을 한 사람
⑤ 뚱뚱한(비만) 사람, 동물성 지방을 과잉 섭취하는 사람
⑥ 호르몬 자극을 오랫동안 받은 사람(이른 초경, 늦은 폐경, 또는 폐경 후 장기적인
여성호르몬 투여)
⑦ 가슴 부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사람
⑧ 핵물질의 강한 방사능에 노출된 적이 있는 사람
⑨ 유방에 지속적인 문제(덩어리 등)가 있거나 자궁내막, 난소, 대장에 악성종양이
있었던 사람
<유방 파제트병 진단>
유두와 유륜에만 국한된 경우 해당 부위의 피부를 떼어서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대부분의 파제트병은 피부조직검사로 발견되지만, 유방촬영술이나 유방초음파를
함께 실시해 유두.유륜 아래에 위치한 유방암의 여부도 확인합니다.
<유방 파제트병 치료>
암이 발생한 쪽의 유방을 모두 제거하는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하는데, 파제트병이
있는 쪽의 유방에 다른 유방암이 함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검사 결과 유두에
파제트병이 있는 것 이외에 유방 내에 다른 유방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유두
부분만 절제하는 유방부분절제술(유방보존적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유방 파제트병 예방법>
금연과 절주를 하고 적절히 운동하면서 가능하면 30세 이전에 첫 출산을 하고
수유기간을 길게 유지합니다. 또한 만40세 이상 여성은 1~2년 간격으로 검사 및
의사의 임상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건강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버섯이 생기는 이유 (0) | 2017.03.25 |
---|---|
다리에 쥐가날때 응급처치 다리에 쥐가 자주 나는 이유 (0) | 2017.03.20 |
설탕이나 단 음식은 먹으면 안 되나요? (0) | 2017.03.15 |
배탈 설사에 좋은 음식 (0) | 2017.03.11 |
땀이 안나요 무한증 치료 및 증상 (0) | 2017.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