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사자성어 중에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거자일소'입니다. ※ 거자일소(去者日疏) 죽은 사람에 대해서는 날이 갈수록 잊어 버리게 된다는 말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는 뜻. ※ 거자일소(去者日疏) 내자일친(來者日親) 떠나간 사람은 날이 갈수록 잊어버리게 되고, 자주 만나는 사람은 날마다 친해진다는 뜻. 거자일소와 의미가 같은 속담으로는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등이 있습니다. - 거자일소라고 멀리 떨어져 있으면 마음까지도 멀어진다. - 거자일소라고 눈에서 멀어지.. 성어속담글 2022. 9. 3. 겨울 사자성어 겨울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겨울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동거춘래(冬去春來) 겨울이 가고 봄이 온다는 뜻. 2. 동장군(冬將軍) 겨울 장군이라는 말로, 겨울철의 매서운 추위를 뜻함. 3. 동빙한설(凍氷寒雪)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말로, 매서운 추위를 뜻함. 4. 삼동설한(三冬雪寒) 눈이 내리고 추운 겨울의 석 달 동안을 이르는 말. 5. 북풍한설(北風寒雪)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차가운 눈. 6. 낙목한천(落木寒天) 나뭇잎이 다 떨어진 겨울의 춥고 쓸쓸한 풍경. 7. 엄동설한(嚴冬雪寒)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8. 융동설한(隆冬雪寒)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9. 설중사우(雪中四友)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 납.. 성어속담글 2022. 8. 12. 봄 관련 사자성어 봄 관련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봄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구십춘광(九十春光) 봄철의 약 구십 일 동안의 맑고 깨끗한 날씨. 2. 낙화유수(落花流水)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말로, 가는 봄의 경치나 세력이 보잘것없이 쇠함을 뜻함. 3. 단장춘심(斷腸春心) 슬프도록 벅찬 봄기운. 4. 동작서수(東作西收) 봄에 농사를 짓고 가을에 거두어들임. 5. 만화방창(萬化方暢) 따뜻한 봄이 되어 온갖 생물이 나서 자람. 6. 방춘화시(方春和時) 봄이 한창 화창한 때. 7. 사시장춘(四時長春) 언제나 봄과 같음. 8. 삼춘가절(三春佳節) 봄철 석 달의 좋은 시절. 9. 삼춘고한(三春苦旱) 봄철 석 달이 매우 심하게 가뭄. 10. 양춘화기(陽春和氣) 봄철의 따뜻하고 온화한 기운. 1.. 성어속담글 2022. 7. 13. 속세무민 뜻 흑세무인 뜻 '속세무민' 또는 '흑세무인'이라는 말을 종종 듣곤 하는데요, 속세무민 뜻, 흑세무인 뜻은 무엇일까요? 속세무민 뜻 흑세무인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속세무민'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속세무민'은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흑세무인'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흑세무인'은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혹세무민(惑世誣民)'은 '세상 사람들을 속여 정신을 홀리고 세상을 어지럽힘'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예) 혹세무민하는 사이비 종교의 교주. (예) 혹세무민하는 종교는 탄압되었다. (예) 그는 혹세무민하고 모반을 꾀했다. (예) 혹세무민한 너의 죄를 인정하라. (예) 무속을 무조건 혹세무민의 종교라고 배격할 것만은 아니다. 1. 곡학아세(曲學阿世) 바르지 못한.. 성어속담글 2022. 7. 11. 어두일미 어두육미 뜻 '어두일미'와 '어두육미'는 어떤 뜻일까요? 어두일미 어두육미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어두일미(魚頭一味)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어두일미(魚頭一味)와 의미가 같은 말로는 어두진미(魚頭珍味)가 있습니다. ※ 어두진미(魚頭珍味) 물고기는 머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② 어두육미(魚頭肉尾) 물고기는 머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어두육미(魚頭肉尾)와 의미가 같은 말로는 어두봉미(魚頭鳳尾)가 있습니다. ※ 어두봉미(魚頭鳳尾) 물고기는 머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있다는 말. ① 미꾸라지 한 마리가 강물을 흐린다. 한 사람의 잘못된 행동이 집단이나 사회의 분위기를 흐린다는 의미. ② 말짱 도루묵. 아무 소득이 없는 헛된 일이나 헛수고를 속되게 이르는.. 성어속담글 2022. 6. 8.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고사성어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는 무엇일까요?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일지십(聞一知十)입니다. '문일지십'은 한 가지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지극히 총명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공자의 제자는 삼천 명이나 되고, 이름을 떨친 제자만 해도 수십 명이나 된다. 그 제자 중에 자공은 재산도 많고 재주도 아주 많았다. 그러나 묵묵히 공자 뒤를 따르는 안회는 가난하고 아는 척도 하지 않는 바보같은 사람이지만, 학문은 아주 뛰어났다. 하루는 공자가 제자 자공을 불러 물었다.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더 낫다고 생각하느냐?" 자공은 서슴지 않고 대답했다. "저를 어찌 안회와 견줄 수 있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 성어속담글 2022. 6. 7. 있는듯 없는듯 사자성어 유야무야 뜻 '있는듯 없는듯'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유야무야'인데요, 있는듯 없는듯 사자성어 유야무야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야무야(有耶無耶)는 어떤 일이 있는 듯 없는 듯 분명하게 끝맺어지지 않고 흐지부지한 상태를 뜻합니다. ① 유야무야(有耶無耶) 어떤 일이 있는 듯 없는 듯 분명하게 끝맺어지지 않고 흐지부지한 상태. ② 흐지부지 일을 분명히 끝맺지 못하고 흐리멍덩하게 넘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흐지부지'는 '확실하지 않고 흐리멍덩하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어 휘지비지(諱之祕之)가 변한 말입니다. - 유야무야로 얼버무리지 마라. - 그 사건의 수사는 유야무야로 끝났다. - 그 약속은 유야무야되고 말았다. - 그 사건은 유야무야 잘 넘어갔다. - 문제를 유야무야 덮어 버렸다. - 그는 흐지부지.. 성어속담글 2022. 5. 9.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