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몹시 놀라 넋을 잃음 사자성어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즉,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몹시 놀라 넋을 잃음)과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대경실색(大驚失色) 몹시 놀라 안색이 변하거나,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을 뜻함. 2. 대경실성(大驚失性)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을 뜻함. 3. 아연실색(啞然失色) 뜻밖의 일에 몹시 놀라 낯빛이 변함을 뜻함. 4. 악연실색(愕然失色) 깜짝 놀라 얼굴빛이 달라짐을 뜻함. 5. 망연자실(茫然自失) 황당한 일을 당하거나 어찌할 줄을 몰라 정신이 나간 듯이 멍함을 뜻함. 6. 혼비백산(魂飛魄散) 혼백이 사방으로 흩어진다는 말로, 매우 놀라거나 혼이 나서 넋을 잃음을 뜻함. 7. 혼불부신(魂.. 성어속담글 2022. 11. 5. 소 닭보듯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뜻 우리 속담에 '소 닭보듯'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소 닭보듯,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은 어떤 뜻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서로 아무런 관심도 없이 본 둥 만 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 그들은 싸운 후 서로 소 닭 보듯 한다. (예) 그는 나를 보고도 소 닭 보듯 지나갔다. (예) 그는 아내가 싫은지 소 닭 보듯 하였다. 서로 보기만 하고 아무 말도 없이 덤덤히 있다는 뜻으로, 서로 마주보고도 모르는 체한다는 말. (예) 엄마는 나를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무심히 쳐다보셨다. (예) 그들은 크게 싸운 뒤로 서로를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한다. 1. 개 닭보듯. 서로 아무런 관심도 없이 본 둥 만 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건넛산 돌 쳐다보듯. 저와는 .. 성어속담글 2022. 10. 24. 타산지석 반면교사 뜻 '타산지석'과 '반면교사'는 어떤 뜻일까요? 타산지석 반면교사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타산지석 뜻 시경의 소아편에 나오는 말로, '남의 산에 있는 돌이라도 나의 옥을 다듬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 또는 허물과 실패까지도 자신을 수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말입니다. ※ 타산지석(他山之石) 남의 산에 있는 돌이라도 나의 옥을 다듬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말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 또는 허물과 실패까지도 자신을 수양하는 데 도움이 됨을 뜻함. (예) 그의 실수를 타산지석으로 삼자.(예) 아버지는 지난 잘못을 타산지석으로 삼고 이와 똑같은 실수가 없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2. 반면교사 뜻 '본이 되지 않는 남의 말이나 행동이 도리어 자신의 인격을 수양.. 성어속담글 2022. 10. 18. 수청무어 수청무대어 뜻 '수청무어'와 '수청무어대'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데요, 수청무어, 수청무대어의 뜻은 무엇일까요? 수청무어, 수청무대어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 수청무어(水淸無魚)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지 못한다. (속뜻 : 물이 너무 맑으면 그곳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종류가 많지 않듯이 사람이 너무 결백해도 남이 가까이하지 않아 따르는 사람들이 없다는 뜻입니다) (예문) 수청무어라더니 그는 지나치게 완벽해 사람들이 가까이 하기를 꺼려한다. (예문) 그는 성격이 너무 결백해 수청무어처럼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없다.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는 뜻입니다. ※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 (속뜻 :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듯이 사.. 성어속담글 2022. 10. 16. 가재는 게편이다 뜻 '가재는 개편이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가재는 개편이다'는 어떤 뜻일까요? 가재는 게편이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봐주며 감싸 줌을 뜻함. (예) 가재는 게 편이라더니 어찌 사장님은 자기 고향 사람만 챙기는지, 원! (예) 가재는 게 편이라더니 그는 고향 후배만 위해 준다. 1. 가재는 게 편이요 초록은 한 빛이라. 됨됨이나 형편이 비슷하고 서로 인연 있는 것끼리 한편이 되어 서로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줌. 2. 같은 깃의 새는 같이 모인다. 동류끼리는 서로 어울리기 마련이라는 뜻. 3. 검둥개는 돼지 편이다. 처지나 겉모양이 비슷한 것끼리 서로 편을 든다는 뜻. 4. 솔개는 매 편. 모양과 하는 짓이 비슷한 것끼리 한속이 되.. 성어속담글 2022. 10. 12. 주는대로 받는다는 사자성어 주는대로 받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주는대로 받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뜻. ( 즉, 착한 일을 하면 그에 맞는 보답을 받고 잘못을 하면 벌을 받게 되는 것처럼 자신이 행한 일에 대한 결과는 결국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뜻) 1. 종과득과(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오이가 난다는 말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뜻함. 2. 종두득두(種豆得豆) 콩 심은 데 콩이 난다는 말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뜻함. 3. 인과응보(因果應報) 선(善)을 행하면 선(善)의 결과가, 악(惡)을 행하면 악(惡)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름. 4. 보이국사(報以國士)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하면 자기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 성어속담글 2022. 10. 4. 내로남불 사자성어 아시타비 한자 내로남불은 사자성어일까요? 내로남불은 사자성어가 맞는지와 내로남불의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 아시타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내로남불'은 사자성어가 아닙니다. '내로남불'은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란 의미인데요, 이 말은 남이 할 때는 비난하던 행위를 자신이 하게 되면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면서 합리화하려는 태도를 비하하거나 비난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내로남불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사자성어 아님) ※ 내로남불 어원 내가 하면 로맨스(내로) + 남이 하면 불륜(남불)이 줄어서 '내로+남불'이 되었습니다. 이 말은 1990년대 정치권에서 유래된 이래 지금까지 우리 사회의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내로남불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아시타비(我是他比)를 들 수 .. 성어속담글 2022. 9. 30.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