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발에 오줌누기 뜻 및 사자성어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언발에 오줌누기'라는 속담의 뜻은 무엇일까요? 언발에 오줌누기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발을 녹이려고 언발에 오줌을 누면 잠시 동안은 따뜻할 겁니다. 그러나 그 효력은 오래가지 못하지요? 따라서 '언발에 오줌누기'는 '잠시의 효력은 있으나 그 효력이 오래가지 않을 뿐더러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경우'를 뜻하는 것입니다. ※ 언발에 오줌누기 잠시의 효력은 있으나 그 효력이 오래가지 않을 뿐더러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언발에 오줌누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동족방뇨(凍足放尿)입니다. ※ 동족방뇨(凍足放尿) 언발에 오줌누기라는 뜻으로,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곧 효력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1. 고식지계(姑息之計) 임시방편.. 성어속담글 2022. 5. 4. 답답한 마음 사자성어 답답한 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답답한 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립무원(孤立無援) 남과 사귀지 않거나 남의 도움을 받을 데가 전혀 없음. 2. 고립무의(孤立無依) 남과 사귀지 않거나 남의 도움을 받지 못하여 외롭고 의지할 데 없음. 3. 격화소양(隔靴搔癢)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말로, 필요한 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성에 차지 않음을 뜻함. 4. 격화파양(隔靴爬癢)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말로, 필요한 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성에 차지 않음을 뜻함. 5. 노심초사(勞心焦思) 마음속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움. 6. 분기충천(憤氣衝天) 분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이 격렬하게 솟구쳐 오름. 9. 분기탱천(憤氣撑天) 분한 마음이 하늘을 .. 성어속담글 2022. 5. 2. 원숭이 사자성어 원숭이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원숭이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 사이라는 말로, 사이가 몹시 좋지 않은 관계를 뜻함. 2. 견묘지간(犬猫之間) 개와 고양이 사이라는 말로, 서로 좋지 못한 사이를 뜻함. 3. 농조함원(籠鳥檻猿) 새장에 든 새와 우리에 갇힌 원숭이라는 말로, 속박되어 자유가 없음을 뜻함. 4. 단장지애(斷腸之哀) 새끼를 잃은 어미 원숭이가 창자가 끊어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이라는 뜻. 5. 목후이관(沐猴而冠)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말로, 의관은 갖추었으나 마음이나 행동은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뜻함. 6. 모원단장(母猿斷腸) 어미 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말로,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 성어속담글 2022. 3. 2. 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속담 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말이 많으면 해가 되는 일만 많으니 말을 삼가고 경계하라는 뜻. 2.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해야지만 자기에게도 좋은 반응이 돌아온다는 뜻. 3.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비밀은 지켜지지 않으므로, 늘 말조심을 해야 한다는 뜻. 4. 낮말은 지게문이 듣는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의 북한 속담. 5. 밤말은 쥐가 듣고 낮말은 새가 듣는다. 비밀은 지켜지지 않으므로, 늘 말조심을 해야 한다는 뜻. 6. 말이 많으면 실언이 많다. 말이 많으면 실수하기 쉬우므로 가급적 말을 적게 .. 성어속담글 2022. 2. 24. 모르는게 약이다 사자성어 '모르는게 약이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모르는게 약이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문즉약(不聞則藥)입니다. 불문즉약((不聞則藥)은 '못들으면 약이다' 즉 '모르는게 약이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불문즉약(不聞則藥)은 주로 문즉병 불문즉약(聞則病 不聞則藥)의 형태로 쓰이고 있습니다. 문즉병 불문즉약(聞則病 不聞則藥)은 들으면 병이요, 못 들으면 약이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1. 이불청 심불번(耳不聽 心不煩) 들으면 병이고, 듣지 않으면 약이라는 뜻. 2. 무지이상팔자(無知而上八字) 모르는 것이 가장 좋은 팔자이다. 3. 식자우환(識字憂患) 학식이 있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일으키게 됨.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성어속담글 2022. 2. 14. 겉과 속이 다르다 사자성어 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겉과 속이 다르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이원지(敬而遠之)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꺼리어 멀리함. 2. 권상요목(勸上搖木) 남을 부추겨 놓고 낭패를 보도록 방해함. 3. 구밀복검(口蜜腹劍) 말로는 친한 체하나 속으로는 미워하거나 해칠 생각이 있음. 4. 내소외친(內疏外親) 속으로는 멀리하면서 겉으로는 친한 체함. 5. 내허외식(內虛外飾) 속은 비었는데 겉만 보기 좋게 꾸밈. 6. 동상각몽(同床各夢)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생각을 함. 7. 동상이몽(同床異夢)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생각을 함. 8. 면종배훼(面從背毁) 겉으로는 순종하는 체하면서 뒤에서는 헐뜯음. 9. 면리장.. 성어속담글 2022. 2. 11.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 사자성어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이라는 의미를 지닌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장지애(斷腸之哀)입니다. 단장지애(斷腸之哀)는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이라는 뜻으로, 자식을 잃은 부모의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어미 원숭이가 창자가 끊어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였습니다. ※ 단장지애(斷腸之哀)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 (斷 : 끊을 단) (腸 : 창자 장) (之 : 갈 지) (哀 : 슬픔 애) 동진의 군주 환온은 촉나라 정벌을 위해 여러 척의 배에 병사를 나눠 태우고 양자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양자강 중류에 있는 삼협이라고 하는 물살이 험한 세 개의 협곡을 지나고 있을 때, 어느 병사가 벼랑 아래 늘어진 덩굴 줄기에 매달려 장난치던 .. 성어속담글 2022. 1. 2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