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다 용어 모음 우리가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노가다 용어는 주로 일본말에서 유래되었기에 노가다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노가다 용어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노가다 용어를 아래와 같이 간결하게 설명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자음순서 ㄱ 가꾸목(각목) / 가꾸부찌(문틀) / 가나고데(쇠흙손) / 가다(틀) / 가다와꾸(형틀) / 가베(벽) / 가이당(계단) / 간죠 (품삯) / 갑빠(천막) / 겐바(현장) / 고다다끼(잔다듬) / 고데무라(흙손자국) / 고바다떼(벽돌 세워쌓기) / 고바이(구배) / 곰방(소운반) / 구루마(손수레) / 구리스(잡석) / 구찌(노즐, 주입구, 연결구) / 기고데(나무흙손) / 기리꼬미(흙모래섞인 자갈) / 기리바리 (버팀대) / 기리빠시(절단 가공후 남은 자투리) / 기즈.. 생활관련글 2019. 1. 5. 다자녀 및 장애인 도시가스 할인 상식 다자녀 가구와 장애인 가구는 도시가스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차상위계층 가구도 도시가스 요금이 할인되는데요, 이 글에서는 다자녀 도시가스 할인과 장애인 도시가스 할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의 경우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은 동절기(12월 ~3월)는 6,000원, 기타월(4월~11월)은 1,650원이 경감(할인)되며, 취사용 도시가스 요금은 매월 420원이 경감(할인)됩니다. 생각보다 경감(할인)되는 금액이 적게 느껴지는군요. 장애인 가구(1~3급 장애인)의 경우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은 동절기 (12월~3월)는 24,000원, 기타월(4월~11월)은 6,600원이 경감(할인) 되며, 취사용 도시가스 요금은 매월 1,680원이 경감(할인.. 생활관련글 2018. 12. 24. 고용보험 상실코드 및 상실사유 간략 설명 다니던 직장을 퇴직했을 때는 근로복지공단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사실 통지서를 집으로 보내줍니다. 저도 얼마 전에 이 통지서를 받게 되었습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보내주는 통지서에는 고용보험 상실코드 및 상실사유가 기재되어 있는데요, 퇴직하여 실직자가 된 분들에게는 중요한 통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사실 통지서에 기재되어 있는 고용보험 상실코드, 고용보험 상실사유에 의해 실업급여를 받을 수도 있고 받지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지서에 고용보험 상실코드 및 상실사유가 어떻게 기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고용보험 상실코드가 '32'로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고용보험 상실코드는 고용보험 상실사유를 구분해 놓은 코드인데요.. 생활관련글 2018. 11. 22. 라면이름 모음 요즘은 라면도 종류가 많다보니 라면마다 특색있는 이름도 많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면서 즐겨먹는 라면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봉지라면 신라면, 신라면블랙, 얼큰한너구리, 순한너구리, 무파마, 안성탕면, 오징어짬뽕, 사리곰탕면, 스낵면, 진라면, 짜파게티, 삼양라면, 수타면, 맛있는라면, 육개장면, 팔도틈새라면빨계떡, 일품해물라면, 김치라면, 불닭볶음면 2. 컵라면 진라면매운맛, 열라면, 육개장사발면, 새우탕큰사발면, 튀김우동 큰사별면, 김치큰사발면, 신라면큰사발면, 신라면컵라면, 사리곰탕 큰사발면, 김치사발면, 오징어짬뽕컵라면, 라면볶이, 치즈볶이, 참깨라면, 수타면컵라면, 우육탕큰사발면, 팔도왕뚜껑, 짜파게티 큰사발면 참고로 봉지면과 봉지만두의 이름도 아래와 같.. 생활관련글 2018. 10. 5. 동사무소 업무시간 간략 정리 동사무소는 몇시부터 몇시까지 근무할까? 동사무소 업무시간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사무소 업무시간은 공무원 복무규정에 의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데요, 아래와 같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사무소의 1일 업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점심 시간은 12시부터 13시까지입니다. 다만, 소속 기관의 장은 직무의 성질, 지역 또는 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1시간의 범위에서 점심시간을 달리 정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동사무소 공무원의 1주간 근무시간은 점심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 이며 토요일과 일요일은 휴무입니다. 그러나 토요일과 일요일은 동사무소 공무원들로 당직자를 편성하여 정상업무일의 근무시간에 준하여 당직근무를 하기 때문에 실제 업무처리는 .. 생활관련글 2018. 9. 22. 임금체불실업급여 조건 요약 정리 임금이 체불되어 퇴사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임금이 2개월 이상 체불되어 퇴사했다면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임금체불실업급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이직일 전 1년 이내에 임금의 30% 이상을 받지 못한 달이 2달 이상 지속되어 퇴사했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임금을 2개월 이상 지급받지 못해 퇴사하는 경우는 임금체불증명서를 퇴사한 직장에서 받아와 신분증과 함께 관할고용지원센터에 제출하면 됩니다. (관할고용센터를 방문하기 전에 전화상으로 필요한 서류를 문의하면 서류준비에 도움됨) ① 퇴사일까지 2개월분 이상 임금을 전액 지급받지 못한 경우 ② 2개월분 이상 임금을 전.. 생활관련글 2018. 9. 11. 출산입원준비물 요약 정리 아기를 낳기 위해 병원에 갈 때는 출산입원준비물을 챙겨서 가져 가야 하는데요, 출산 전에 집에서 미리 준비해두었다가 가져가면 마음이 놓이겠지요? 대부분의 예비엄마가 챙기는 출산입원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중요물품 산모수첩, 신분증, 약간의 현금, 휴대폰 등 2. 아기용품 속싸개, 겉싸개, 베냇저고리, 가제 손수건(여러 장) 등 3. 세안용품 및 화장품 빗, 거울, 세안비누, 가그린, 비누, 튼살크림, 바디오일, 로션, 타월, 기초화장품 등 4. 의류 임부팬티(여러 장), 스유브라(2개 정도), 내의(2개 정도), 수면 양말 (3개 정도), 수유복(2벌 정도), 고무줄과 삔(각 2개 정도), 가디건, 손발목보호대, 백조피드 등 5. 수유용품 스유패드(1팩), 모유저장팩(1팩) 6. 전자기기 카메라,.. 생활관련글 2018. 8.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