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한병은 몇ml 몇잔 나올까 술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소주 한병은 몇ml인지 그리고 소주 한병은 몇잔이나 나오는지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소주 한병은 몇ml이며, 몇잔이나 나올까요?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홉 소주 한병의 용량은 360ml입니다. 따라서 1홉 소주는 180ml이고, 3홉 소주는 540ml이며, 4홉 소주는 720ml입니다. 만약 혼자서 2홉 소주 3병을 마셨다면 그 양이 1,080ml이므로 엄청나게 많은 양의 소주를 마신 것입니다. 소주잔의 크기에 따라 나오는 잔의 수는 다양하겠지만, 일반적으로 2홉 소주 한병은 소주잔으로 약 7.5잔이 나옵니다. 물론 가득씩 따르면 7잔이 나오지요. 또 절약형(45ml 정도)으로 따르면 8잔이 나오게 됩니다. 소주는 8잔이 나오게 하면 마시는데 가장 부담이 적다고 .. 생활관련글 2019. 6. 26. 뱀에 물렸을때 응급처치 뱀에 물렸을때는 빨리 병원에 가야 합니다. 그러나 깊은 산속이나 병원이 먼 곳에서 뱀에 물렸다면 신속히 병원으로 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요, 뱀에 물렸을때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뱀에 물린 경우 피부에 상처가 생겼다면 일단 몸에 뱀독이 들어갔다고 봐야 합니다. 이렇게 독사에게 물렸다고 판단되면 빨리 119를 비롯한 응급구조서비스에 연락을 취하고 당황하지 말고 움직임을 줄이며 구조될 때까지 주변의 안전한 곳에서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안정을 취할 때는 누울 수 있다면 눕고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두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구조가 늦어 치료가 지연된다면 심장과 물린 부위 사이를 옷이나 압박붕대를 이용해 묶어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세게 묶으면 피가 통하지 않으므로 .. 생활관련글 2019. 5. 31. 알콜 해독시간 얼마나 걸릴까 알콜이 해독되는 시간은 남자 혹은 여자, 몸무게별, 알콜 도수, 알콜 섭취량, 체질 등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몸속의 알콜이 해독되는데 몇시간 걸린다고 단정지어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로 위드마크 공식에 의한 알콜 해독시간을 참고하게 되는데요, 위드마크 공식에 따른 알콜 해독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콜도수 4.5% 생맥주 2000cc의 완전 해독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병맥주도 동일함) 1. 남자 - 체중 60kg : 6시간 18분 소요 - 체중 70kg : 5시간 22분 소요 - 체중 80kg : 4시간 44분 소요 - 체중 90kg : 4시간 12분 소요 2. 여자 - 체중 50kg : 9시간 28분 소요 - 체중 60kg : 7시간 53분 소요 - 체중 70kg :.. 생활관련글 2019. 5. 23.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 요약 설명 퇴직 후 소득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서 직장보험료를 납부할 때보다 지역보험료가 더 많은 퇴직자에 대해 최장 3년간 직장에서 내던 직장보험료 수준으로 지역보험료를 낼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가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인데요, 아래와 같이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퇴직 이전 18개월 동안 직장가입자로서의 자격을 유지한 기간이 통산 1년(365일) 이상인 직장 퇴직자 (단, 근로자가 아닌 개인사업장의 대표자였던 사람은 대상이 아님)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전환된 후 최초로 고지받은 지역보험료 납부기한에서 2개월이 지나기 전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 참고로 신청후 최초로 납부해야 할 임의계속가입 보험료를 납부기한으로부터 2개월 이내에 납부하지 .. 생활관련글 2019. 5. 1. 공무원 정근수당 지급기준 공무원은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매년 1월과 7월에 정근수당을 지급받습니다. 공무원 정근수당의 경우 근무연수에 따라 지급율이 다른데요, 공무원 정근수당 지급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급비율 근무연수(군복무기간 포함)에 따라 월봉급액의 0%에서 50%까지 차등 지급되는데, 근무 연수별 지급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1년 미만 근무 : 미지급(0%) ② 2년 미만 근무 : 5% ③ 3년 미만 근무 : 10% ④ 4년 미만 근무 : 15% ⑤ 5년 미만 근무 : 20% ⑥ 6년 미만 근무 : 25% ⑦ 7년 미만 근무 : 30% ⑧ 8년 미만 근무 : 35% ⑨ 9년 미만 근무 : 40% ⑩ 10년 미만 근무 : 45% ⑪ 10년 이상 근무 : 50% 2. 지급요건 ① 1월에 지급.. 생활관련글 2019. 4. 23.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간혹 기초연금이 노령연금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서로 다릅니다. 그럼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초연금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했거나 가입했더라도 충분한 연금을 받지못하는 만65세 이상의 저소득 어르신들이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급해주는 복지 성격의 연금으로서 별도의 가입없이 지급받을 수 있는 복지 차원의 연금입니다. 따라서 만65세 이상이면서 소득인정액이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이하인 저소득층이면 주소지 읍면동주민센터에 지급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지급금액은 최대 25만원 수준으로, 가구의 유형이나 소득인정액에 따라 조정된 금액을 받게 됩니다... 생활관련글 2019. 4. 13. 군인 월급날짜 며칠일까 국토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군인들의 노고로 우리는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군인들도 공무원이므로 공무원보수규정에 의해 지정된 날짜에 월급을 받게 되는데요, 군인 월급날짜는 며칠일까요? 군인 월급날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공무원보수규정 별표30에서는 국방부 및 그 소속기관의 월급날을 10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방부에 소속된 군인들과 공무원 그리고 군무원은 매월 10일에 급여를 지급받습니다. 만약 10일이 토요일이거나 일요일이면 금요일에 미리 월급을 받게 되며, 공휴일이면 그 전날에 미리 월급을 지급받게 됩니다. 직업군인과 사병 구분없이 모든 군인들의 월급날은 매월 10일입니다. 그럼 다른 공무원들은 며칠날 월급을 받을까요? 다른 공무원들의 월급날짜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활관련글 2019. 4. 9. 이전 1 ··· 4 5 6 7 8 9 10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