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관한 속담 예로부터 음식에 관한 속담들이 많이 전해오는데요, 음식에 관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음식에 관한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김칫국부터 미리 마신다. 상대편의 속마음도 모르고 지레짐작으로 그렇게 될 것으로 믿고 행동함을 뜻함. 2. 시장이 반찬이다. 배가 고프면 반찬이 없거나 변변찮아도 밥이 맛있다는 뜻. 3.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부르고 난 뒤에야 흥이 난다는 뜻. 4.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떠들썩한 소문이나 큰 기대에 비해 오히려 실속이 없거나 소문이 실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뜻함. 5. 봄 떡은 들어앉은 샌님도 먹는다. 먹을 것이 궁한 봄철에 점잔만 빼고 있는 샌님도 떡을 먹고 싶어한다는 말로, 먹을 것이 없는 봄에는 누구나 군것질이 반갑다는.. 성어속담글 2021. 6. 21. 내 코가 석자다 뜻 내 코가 석자 사자성어 우리는 '내 코가 석자다'라는 속담을 자주 사용하는 편인데요 '내 코가 석자다 뜻'은 무엇일까요? 또 '내 코가 석자'를 뜻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본인의 일도 막막한 처지라서 남의 고통이나 슬픔 등을 돌볼 겨를이 없다'는 뜻입니다. 즉, 본인도 곤경에 처해지면서 본인의 일도 감당할 수 없는 처지라서 도저히 남을 도울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 (예문) 내 코가 석 잔데 누굴 도우랴?(예문) 지금 내 코가 석 자입니다.(예문) 내 코가 석 잔데 친구의 어려움을 챙길 겨를이 어디 있겠어요? '내 코가 석자'와 뜻이 같은 속담으로는 '제 코가 석자'가 있습니다. * 내 코가 석자 = 제 코가 석자 '내 코가 석자'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오비삼척(吾鼻三尺)입니다. '오비.. 성어속담글 2021. 6. 15. 원숭이 관련 속담 모음 원숭이와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원숭이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아무리 익숙하여 잘하는 일이라도 때로는 실수할 때가 있다는 뜻. 2. 잔나비도 나무에서 떨어진다.아무리 익숙하여 잘하는 일이라도 때로는 실수할 때가 있다는 뜻. 3. 개와 원숭이 사이다.개와 원숭이 사이같이 관계가 몹시 어색하고 안 좋은 상태를 뜻함. 4. 잔나비(원숭이) 잔치다.남을 흉내내어 한 일이 제격에 맞지 않는 경우를 뜻함. 5. 잔나비 궁둥이 같다.보기 흉하게 울긋불긋한 모양을 뜻함. 6. 원숭이 낯짝 같다.술을 많이 마셔 얼굴이 붉게 된 사람을 뜻함. 7. 관 쓴 원숭이다.① 원숭이 같이 경솔한 관리라는 뜻. ② 하찮은 권력을 가지고 우쭐댄다는 뜻. 8. 원숭이가 소.. 성어속담글 2021. 5. 29. 후회 사자성어 모음 후회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후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교각살우(矯角殺牛)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말로,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뜻함. 2. 경견후회(輕見後悔)가볍게 사람을 만나면 결국 후회할 일이 생김을 뜻함. 3. 교왕과직(矯枉過直)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곧게 한다는 말로, 잘못을 바로잡으려다가 지나쳐서 오히려 더 나쁘게 됨을 뜻함. 4. 교왕과정(矯枉過正)구부러진 것을 바로잡으려다 너무 곧게 한다는 말로, 잘못을 바로잡으려다가 지나쳐서 오히려 더 나쁘게 됨을 뜻함. 5. 만시지탄(晩時之歎)어떤 일에 알맞은 때가 지났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6. 망우보뢰(亡牛補牢)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로,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 성어속담글 2021. 4. 23. 욕심 사자성어 모음 욕심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욕심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욕심과 관련된 대표적인 사자성어로는 '과유불급'과 '소탐대실'을 들 수 있습니다. '과유불급'은 '정도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즉,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다'는 뜻이며, 소탐대실'은 '욕심이 지나쳐 눈앞의 작은 이익마져도 탐하다가 오히려 큰 이익이나 진짜 소중한 것을 잃어버린다'는 뜻입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즉,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다'는 뜻. - 소탐대실(小貪大失) '욕심이 지나쳐 눈앞의 작은 이익마져도 탐하다가 오히려 큰 이익이나 진짜 소중한 것을 잃어버린다'는 뜻. 1. 견물생심(見物生心) 어떤 물건을 실제로.. 성어속담글 2021. 4. 17.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 사자성어 대실소망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지요? 흥미로운 축제인 줄 알고 먼 길을 마다하고 갔는데 볼거리나 즐길거리가 너무 없으면 실망하게 됩니다. 이럴 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라는 속담이 떠오르는데요,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의 사자성어는 무엇까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대실소망(大失所望)입니다. 대실소망은 '바라던 일이 아주 허사가 되어 매우 실망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와 가장 비슷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대실소망한 적이 있지요? 저도 대실소망하여 크게 낙심한 적이 있습니다. 과거 공무수행 중 어깨에 큰 부상을 입고 결국 공무원 생활을 청산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한가지 희망이 있었습니다. 국가유공자로 등록될 수 있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입니다... 성어속담글 2019. 5. 7. 해어화 뜻 간략 설명 아름다운 여자를 일컫는 사자성어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 경국지색, 절세미인, 절세가인, 월태화용 등이 유명한 미인 사자성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당나라를 대표하는 미인인 양귀비를 비유하던 해어화도 미인을 일컫는 사자성어로 유명한데요, 해어화 뜻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말을 이해하고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매우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하는 말인데, 중국 당나라를 대표하는 미인인 양귀비를 해어화로 부른데서 유래 되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기생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한문으로는 解語花로 적으며, 개별한자 뜻은 (解 : 풀 해) (語 : 말씀 어) (花 : 꽃 화)입니다. 해어화는 원래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이므로 단순하게 외모만 아름다운 여자가 아니라 아름다운 외모는 물론.. 성어속담글 2018. 9.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