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라테 효과 빅맥지수 스시지수 치킨게임이란 -카페라테 효과 / 빅맥지수 / 스시지수 / 치킨게임이란- 음식 이름이 들어간 경제용어는 과연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은근히 재미있는 경제용어 몇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이런 경제용어는 외우기도 쉬운데요, 알아두면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카페라테 효과 하루 카페라테 한잔 값의 돈을 절약하여 꾸준히 모으면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매일 마시는 카페라테 한잔 값의 돈이 모이면 30년 후에는 2억원 정도 의 돈이 모인다고 합니다. 하루에 우유를 곁들인 커피 카페라테의 값만 절약해도 30년 동안 2억이란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카페라테의 효과'를 생각하는 순간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생각납니다. 티와 먼지처럼 매우 작은 티끌로 태산같은 성과를 낸다는 우리 속담과 식사 후 .. 지식상식글 2016. 11. 22. 안도 뜻 유래 고사성어 안도는 담안에 있으면 걱정이 없다는 말로, 불안감이 사라져 마음을 놓거나 어떤 곳에서 편안하게 지낸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도의 출전은 '사기의 전단열전'입니다. 한자로는 安堵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安 : 편안할 안) (堵 : 담 도)입니다. 그럼 안도의 유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래 참조 : 신동운 선생님 편저 촌철살인의 지혜) 제나라 장군 전단은 연나라 악의에게 포위당한 즉묵성을 지키고 있었는데, 연나라 소왕이 죽고 즉위한 혜왕이 악의 장군과 사이가 좋지않다는 사실을 알고 이간책을 사용해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전단은 제나라 군대의 사기를 높이고자 스스로 사졸들의 일을 분담하고 자신의 처첩을 군대에 보내 모든 음식을 사졸들에게 대접했습니다. 또한 연나라 군대가 방심하게 .. 지식상식글 2016. 11. 2. 정지시거 추월시거 상식 도로공학에서의 정지시거는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전방시야가 확보된 거리를 뜻하는 말인데, 시거의 개념과 속도별 정지시거, 그리고 추월시거에 대해서도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거란 평면 곡선상에서는 수평면의 투시를 의미하고 횡단구배에서는 변화점을 통과한 연직면의 투시를 의미합니다. 즉, 차선의 중심선상 1.2m 높이(눈의 높이)에서 당해 전방 차선의 중심선상에 있는 높이 10cm 물체의 정점을 볼 수 있는 거리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시거란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 또는 추월할 수 있도록 전방시야가 확보된 거리를 뜻하는 것으로, 정지시거와 추월시거로 구분합니다. 추월시거의 경우는 물체의 정점 높이 역시 1.2m로 보고 있습니다. ① 정지시.. 지식상식글 2016. 10. 21. 전어 뜻 유래 속담 상식 우리가 좋아하는 생선 전어 뜻은 무엇일까? 또 유래가 있다는데, 전어 유래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어는 그 맛이 좋아 전어를 굽는 냄새 때문에 집 나갔던 며느리가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는 전어 속담이 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즐겨찾았던 생선입니다. 그래서 전어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전해오고 있습니다. 전어는 바다에 서식하는 청어과의 물고기로 몸의 길이는 20~30cm이며, 등색깔은 검푸르고 갈색 세로줄이 여러개 있으며, 배는 은백색이고, 몸통은 옆으로 납작하며, 먹을 때 잔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등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예로부터 전어잡이가 성행할 수 있었습니다. 전어의 한자는 錢魚 (錢 : 돈 전, 魚 : 물고기 어)입니다. 이렇게 錢(돈 전)자를 .. 지식상식글 2016. 10. 17. 예송논쟁 송시열 허목 간의 유교 정치 갈등 조선 제18대 왕 현종 때의 예송논쟁은 유교 예법을 서인과 남인이 정치에 이용한 사건 으로 1차 예송논쟁과 2차 예송논쟁으로 구분합니다. 예송논쟁이 일어난 이유는 현종이 19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해 정치적 경륜이 부족한 탓도 있지만, 서인과 남인간의 정치 갈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효정의 맏아들 현종이 즉위한 후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가 상복입는 기간을 둘러싸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의견이 대립한 사건으로, 송시열 등 서인세력은 효종이 인조의 차남이므로 자의대비가 상복을 1년간 입어야 한다고 주장 했고, 허목 등 남인세력은 효종이 비록 차남이지만 왕위를 계승했으므로 3년간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인과 남인 간의 치열한 논쟁은 결국 현종.. 지식상식글 2016. 10. 14. 삐끼 뜻 여리꾼 뜻 삐끼 뜻은 호객행위하는 사람을 낮춰 부르는 말이며, 삐끼는 우리말로 여리꾼입니다. 또한 삐끼는 일본말 찌꺼기이므로 우리가 사용해서는 안되는 말입니다. 우리는 흔히 가게 앞 또는 유흥업소 앞에서 손님을 유치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요, 이 사람들이 바로 삐끼입니다. 그러나 삐끼는 일본말 찌꺼기이므로 우수한 언어를 자랑하는 우리 민족이 사용해야 할 말은 아닙니다. 삐끼 대신 호객행위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인 '여리꾼'이라고 표현 해야 합니다. 여리꾼이란 상점앞에 서서 손님을 끌어들여 물건을 사게하고 주인에게 댓가를 받는 사람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럼 이 글에서 나온 단어를 다시 한번 요약해 보겠습니다. ① 삐끼 호객행위를 하는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말로, 일본말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② 여리꾼 호객.. 지식상식글 2016. 10. 5. 주접떨다 뜻 '주접떨다'는 사람이 욕심을 부리며 추하고 염치없게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분수를 모르고 주접을 떠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우리는 "주접 좀 떨지마라!"라고 행동을 자제시키는데요, 사람은 누구나 주접을 떨 수 있습니다. '주접'이란 생명체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거나 그 모습이 초라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이런 경우 주접이 들었다고 표현하는데요, 어릴 적에 일찍 부모를 여의고 의지할 곳 없는 아이를 보았을 때, "그 애는 부모를 일찍 여의어 그런지 주접이 들어 보기에 정말 안쓰러웠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분수도 모르고 날뛰거나 터무니없이 욕심을 부리거나, 염치없는 행동이나 말을 할 때는 '주접떤다'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가령 나이에 맞지않게 .. 지식상식글 2016. 9. 18.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다음